2025년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건 및 신청 방법

2025년 02월 20일

국민연금을 앞당겨 받는 조기 수급자가 늘면서 올해 1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국민연금 중기재정 전망(2023~2027)’ 보고서에 따르면 조기노령연금 총 수급자는 2024년 말 96만 1천명을 겨처 올해는 107만명으로 100만명을 넘어설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출처 (국민연금관리공단 국민연금연구원)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고령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5 ~ 64세 고령층이 가장 오래 다닌 직장에서 퇴직한 연령은 고작 평균 49.4세였다고 합니다. 퇴직 후 바로 다른 직장을 구하지 않는 이상 연금 수령까지 10년 이상의 소득 공백이 발생하게 됩니다. 오랜 경제 불황으로 인해 점점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자가 늘어나고 있는데, 받을 수 있는 연금액도 크게 줄어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국민연금 조기수령 대상자와 조건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기노령연금이란?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기노령연금은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 출생년도별 조기노령연금 지금개시연령 이상인 사람이 현재 소득이 없는 경우에 본인이 신청하면 노령연금 개시 전이라도 지급신청을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경우 가입기간 및 처음 연금을 받는 연령에 따라 지급률을 조정하여 평생동안 받게 됩니다.

국민연금 조기 수령을 신청할 수 있는 나이는 출생연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2025년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국민연금공단

노령연금(국민연금)을 받을 나이보다 조기에 지급 신청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래 받는 연금액 보다 감액이 되는데, 1년 단위로 6%씩 감액이 되고 최대 30%까지 감액될 수 있습니다. 만약 64세에 월 100만 원을 받는다고 하면, 59세에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했을 때 100만 원의 70%인 매달 70만원씩 받게되는 것입니다.

출처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조기수령과 정상수령 비교

국민연금을 조기수령 했을 때와 정상적으로 수령했을 때의 차이를 보겠습니다. 기준은 65세에 국민연금 수령액 100만 원인 사람이 조기노령연금 신청을 1년부터 5년까지 했을 경우 금액의 차이와 85세까지 수령했을 때 누적금액입니다. 국민연금을 5년 조기수령했을 경우 11년 8개월에는 누적된 연금수령액이 같아지고 이후부터는 정상 수령한 노령연금이 더 많아지는 구조입니다. 연금 수령액이 많을수록 이 차이는 더 벌어지게 됩니다.

국민연금 65세 50만 원 수령 시

나이 연금 수령액 65세 누적 75세 누적 85세 누적
65세 500,000원 0원 60,000,000원 120,000,000원
64세 470,000원 5,640,000원 62,040,000원 118,440,000원
63세 440,000원 10,560,000원 63,360,000원 116,160,000원
62세 410,000원 14,760,000원 63,960,000원 113,160,000원
61세 380,000원 18,240,000원 63,840,000원 109,440,000원
60세 350,000원 21,000,000원 63,000,000원 105,000,000원

국민연금 65세 100만 원 수령 시

나이 연금 수령액 65세 누적 75세 누적 85세 누적
65세 1,000,000원 0원 120,000,000원 240,000,000원
64세 940,000원 11,280,000원 124,080,000원 236,880,000원
63세 880,000원 21,120,000원 126,720,000원 232,320,000원
62세 820,000원 29,520,000원 127,920,000원 226,320,000원
61세 760,000원 36,480,000원 127,680,000원 218,880,000원
60세 700,000원 42,000,000원 126,000,000원 210,000,000원

국민연금 65세 150만 원 수령 시

나이 연금 수령액 65세 누적 75세 누적 85세 누적
65세 1,500,000원 0원 180,000,000원 360,000,000원
64세 1,410,000원 16,920,000원 186,120,000원 355,320,000원
63세 1,320,000원 31,680,000원 190,080,000원 348,480,000원
62세 1,230,000원 44,280,000원 191,880,000원 339,480,000원
61세 1,140,000원 54,720,000원 191,520,000원 328,320,000원
60세 1,050,000원 63,000,000원 189,000,000원 315,000,000원

국민연금 65세 200만 원 수령 시

나이 연금 수령액 65세 누적 75세 누적 85세 누적
65세 2,000,000원 0원 240,000,000원 480,000,000원
64세 1,880,000원 22,560,000원 248,160,000원 473,760,000원
63세 1,760,000원 42,240,000원 253,440,000원 464,640,000원
62세 1,640,000원 59,040,000원 255,840,000원 452,640,000원
61세 1,520,000원 72,960,000원 255,360,000원 437,760,000원
60세 1,400,000원 84,000,000원 252,000,000원 420,000,000원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기노령연금 신청 방법 및 서류

조기노령연금 신청은 전국에 있는 국민연금관리공단에 직접 방문하거나 인터넷 또는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필요한 서류로는 국민연금 지급 청구서, 도장(없을 경우 서명),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에 대한 상세증명서(주민등록번호 포함), 본인 명의 통장입니다.

① 가까운 국민연금 지사 방문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을 위한 서류를 준비한 후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를 방문해 신청을 하면 됩니다.

국민연금공단을 직접 방문하여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한다면 별도로 “국민연금 지급 청구서“를 작성할 필요 없이 지사 담당자가 전산에 작성한 청구서 내용을 확인 후 전자서명을 하면 됩니다.

② 지사 방문이 어려울 경우 방문 신청

거동이 불편하거나 가까운 곳에 국민연금공단 지사가 없는 경우, 생업종사 등으로 지사 방문이 어려운 분들은 국민연금의 “찾아가는 연금서비스” 신청을 할수 있습니다. 개인 사정으로 인해 국민연금공단까지 가기 힘든 상황이라면 “찾아가는 연금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

③ 국민연금 홈페이지 또는 스마트폰 앱으로 신청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접속해 “연금/일시금 청구” 메뉴를 통해 신청하거나 “내 곁에 국민연금” 앱을 통해서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④ 조기노령연금 신청 서류

• 필수 서류
– 노령연금지급청구서(서명 또는 날인)
– 신분증(주민등록중, 운전면허증, 여권, 선원수첩, 장애인복지카드)
– 혼인관계증명서에 대한 상세증명서(주민등록번호 포함)
(제적등본 추가될 수 있음)
(대법ㅂ원 혼인관계 등록자료가 공단에 입수되는 대상자의 경우 혼인관계증명서는 공단 자료로 갈음할 수 있음)
– 수급권자 예금계좌

• 해당 시 필요한 서류
– 가족관계증명서에 대한 상세증명서(주민등록번호 포함)
– 부양가족과의 생계유지확인 필요 시 관련 서류.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기노령연금 연금 수령을 조기에 신청하여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원래 받을 수 있는 나이보다 1년에서 최대 5년까지 앞당겨 받을 수 있지만, 그만큼 받을 수 있는 연금액이 줄어들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민하고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눈앞에 수령액도 중요하지만 매년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연금 수령액도 증가하기 때문에 위에 보여드린 표 내용보다 더 큰 금액의 차이가 있일 수도 있습니다.

추천 글
👉🏻 2025년 기초연금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 노후에 거주하는 집으로 주택연금 신청 괜찮을까?